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1-3. Directory Structure
    OS/os 공부 2022. 1. 26. 12:05

    디렉토리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도록하자.

    Logical directory structure 

    • Flat (single-level) directory structure 

    • 2-level directory structure

    • Hierarchical (tree-structure) directory structure

    • Acyclic graph directory structure

    • General graph directory structure

     

    1. Flat directory Structure

    파일시스템 내에 하나의 directory만 존재하는 것으로 Single-level directory structure이다.

     

    문제점은 

    파일이름을 지을때 만약 중복된 파일이름이 있으면 그곳을 덮어 쓸수 있어 파일의 보안에도 문제가 생기고 파일을 분류하거나 보관하는등 관리하는데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자가 많은 환경에서 문제가 더 커진다.

     

    2. 2 - Level Directory Structure

    사용자 마다 하나의 디렉토리를 배정해주는 구조로

    MFD(Master file directory) 와  UFD(User file directory)로 나누어진다.

     

    문제점은 내부적으로 하위 디렉토리 생성이 불가능하여 파일이름 문제가 발생하고 사용자간 파일공유가 불가하다는 점이다. 공유하려한다면 나의 파일 전체를 오픈해야 하는데 이는 보안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구조이다.

     

    3. Hierarchical Directory Structure

    Hiearchical이란 계층적이란 말로 Tree형태의 계층적 디렉토리가 사용가능한 구조를 말한다.

    사용자가 하부 디렉토리의 생성 및 관리가 가능하며 이는 OS에서 System call 로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OS가 이 구조를 사용한다.

     

    계층적 디렉토리 구조가 생기면서 생성된 전문용어로서 Home directory, Current directory, Absolute pathname, Relative pathname이 있다.

     

    Home diredctory는 나에게 할당된 디렉토리의 최상단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절대경로는 홈디렉토리부터 목표 디렉토리 까지의 모든 경로를 말하고

    상대경로는 현재 디렉토리부터 목표 디렉토리 까지의 경로를 말한다.

     

     

    4. Acyclic Graph Directory Structure

    Hierarchical directory structure 확장형 구조로 디렉토리안에 공유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담을 수 있으나

    디렉토리간 사이클을 형성하지 않는 구조이다.

     

    공유 디렉토리는 Link 의 개념을 사용하는데 윈도우에서 바로가기 파일을 생각하면 된다.

     

    5. General Graph Directory Structure

    Acyclic Graph Directory Structure의 일반화한 자료구조로 Cycle을 허용하는 구조이다.

    주의사항으로는 파일 혹은 디렉토리간 서클을 허용하므로 file탐색 시 infinite loop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